우노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노 내각은 1989년 리쿠르트 사건으로 다케시타 노보루 내각이 퇴진한 후, 사건 연루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노 소스케를 총리로 선출하여 출범했다. 내각은 여성 문제, 소비세 도입 논란, 1989년 참의원 선거 참패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69일 만에 붕괴되었다. 자민당 창당 이후 최악의 선거 결과를 초래했으며, 우노 내각은 단명했으나 각료 자산 공개 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개혁을 시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노 소스케 - 다케시타 재정
다케시타 재정은 1980년대 후반 다케시타 노보루 내각 시기에 일본 사회의 급격한 변화를 배경으로 한 경제적 번영, 사회적 모순 심화, 국제 관계 변화와 관련된 용어이며, 다케시타 노보루 사임 이후의 정치적 사건들을 포함한다. - 1989년 일본 -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는 아키히토 천황 즉위부터 나루히토 천황 즉위 전까지의 30년 연호로, 버블 경제 붕괴, 대형 자연재해, 사회적 사건, 정권 교체 등 격변과 경제·안보 정책 변화, 천황 퇴위와 레이와 시대 이행을 겪었다. - 1989년 일본 -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
1989년 후쿠오카시 시제 시행 10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된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는 '새로운 세계의 만남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7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동원했으나, 예산 낭비 및 환경 문제 등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내각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라크 자위대 파병 결정과 연금 개혁 추진, 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 사임, 우정 민영화 법안 부결 등의 사건이 있었고,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조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사회적 논란과 비판도 있었다. - 내각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제3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된 자민당-공명당 연립 정부 내각으로, 차기 총리 후보들을 포함한 새로운 각료들이 임명되었으며, 행정 및 의료 개혁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교육, 헌법, 형법 개혁은 이루지 못했다.
우노 내각 | |
---|---|
우노 내각 | |
기본 정보 | |
내각 이름 | 우노 내각 |
일본어 | 宇野内閣 |
내각 대수 | 75 |
국가 | 일본 |
국가 원수 | 아키히토 |
정부수반 | 우노 소스케 |
정당 | |border=darkgray}} 자유민주당 |
주요 야당 | |border=darkgray}} 일본사회당 |border=darkgray}} 공명당 |border=darkgray}} 민주사회당 |border=darkgray}} 일본공산당 |
의회 | 하원 다수당 정부 |border border-color=darkgray|per=1}} |
전임 내각 | 다케시타 내각 (개조) |
후임 내각 | 제1차 가이후 내각 |
성립 및 해산 | |
성립일 | 1989년 6월 3일 |
해산일 | 1989년 8월 10일 |
선거 | |
선거 | 제15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1989년) |
관련 링크 | |
관저 공식 웹사이트 | 총리 관저 |
명단 | 내각 명단 |
이미지 | |
![]() | |
기타 | |
총리 | 우노 소스케 |
수상 전 직책 | 외무대신, 중의원 의원 및 자유민주당 총재 |
2. 성립 배경 및 특징
다케시타 노보루 총리가 리크루트 사건으로 사임하면서 다케시타 개조내각은 물러났다. 곧바로 주요국 정상회의를 앞두고 차기 총리와 자민당 총재를 서둘러 결정해야 했다. 그러나 자민당 유력 정치인들이 리크루트 사건에 연루되어 있어, 이 사건과 거리가 멀었던 우노 소스케가 자민당 총재와 총리로 발탁되었다. 우노 내각은 리크루트 사건과 관계가 적은 인물을 우선 등용하여 여론의 이미지 개선을 시도했다.
하지만 취임 직후 우노 총리 자신의 여성 문제가 주간지에 보도되어 궁지에 몰렸다. 이 '총리의 여성 문제', '리크루트 사건', '소비세 도입'의 3가지 문제로 인해, 같은 해 7월 제1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민당은 36석을 얻는 데 그쳐 과반수를 넘지 못하고 창당 이후 최악의 참패를 당했다.
일본공산당은 우노 내각을 '나카소네 아류 다케시타 리모컨 내각'이라고 비판했다.[4] 이는 나카소네파였던 우노가 다케시타 내각에서 외무대신을 역임했었기 때문이다.
우노 내각 시대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톈안먼 사건 발생 (6월 4일)[4]
- 버마 연방이 미얀마로 국명 변경 (6월 18일)[4]
- 미소라 히바리에게 사후 국민영예상 수여 (7월 6일)[4]
- 도쿄·사이타마 여아 연쇄 유괴 살인 사건 용의자 체포 (7월 23일 별건 체포, 그 후 본건에서 다시 체포)[4]
2. 1. 내각 구성
우노 소스케는 나카소네 파 소속으로, 다케시타 내각에서 외무대신을 역임했다. 각료 인선은 리크루트 사건과의 연관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내각관방부장관(정무)을 포함한 정무차관 중 9명은 전임 내각에서 유임되었다.[1]직책 | 성명 | 소속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우노 소스케 | 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파) | 자유민주당 총재 |
법무대신 | 타니가와 카즈오 | 중의원 자유민주당 (가와모토파) | 재입각 |
외무대신 | 미쓰즈카 히로시 | 중의원 자유민주당 (아베파) | 직무 이동 |
대장대신 | 무라야마 다쓰오 |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 재임 |
문부대신 | 니시오카 다케오 |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 재임 |
후생대신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중의원 자유민주당 (아베파) | 재임 |
농림수산대신 | 호리노우치 히사오 | 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파) | 초입각 |
통상산업대신 | 카지야마 세이로쿠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 재입각 |
운수대신 | 야마무라 신지로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 신도쿄 국제공항 문제 담당, 재입각 |
우정대신 | 무라오카 가네조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 초입각 |
노동대신 | 호리우치 미쓰오 |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 초입각 |
건설대신 | 노다 타케시 | 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파) | 토지 대책 담당, 초입각 |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사카노 시게노부 | 참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 재임 |
내각관방장관 | 시오카와 마사주로 | 중의원 자유민주당 (아베파) | 재입각 |
총무청장관 | 이케다 유키히코 |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 초입각 |
홋카이도 개발청장관 오키나와 개발청장관 | 이노우에 키치오 | 참의원 자유민주당 (니카이도 그룹) | 초입각 |
방위청장관 | 야마사키 타쿠 | 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파) | 초입각 |
경제기획청장관 | 오치 미치오 | 중의원 자유민주당 (아베파) | 초입각 |
과학기술청장관 | 나카무라 키시로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 원자력위원회 위원장, 초입각 |
환경청장관 | 야마자키 타츠오 | 참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 지구환경문제 담당, 초입각 |
국토청장관 | 노나카 에이지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 꽃과 녹색의 만博 담당 연구·학원 도시 담당, 초입각 |
직명 | 이름 | 소속 | 비고 |
---|---|---|---|
내각관방부장관 | 마키노 타카모리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정무 담당 |
이시하라 노부오 | 자치성 | 사무 담당 | |
내각법제국장관 | 미무라 오사무 | 법무성 | 유임 |
직책 | 성명 | 소속 | 비고 |
---|---|---|---|
법무 정무차관 | 소에타 마스타로 | 참의원/자유민주당(아베파) | 재임 |
외무 정무차관 | 다나카 나오키 | 중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도 그룹) | |
대장성 정무차관 | 요시무라 마코토 | 참의원/자유민주당(아베파) | 재임 |
고무라 마사히코 | 중의원/자유민주당(가와모토파) | ||
문부 정무차관 | 마치무라 노부타카 | 중의원/자유민주당(아베파) | |
후생 정무차관 | 지카오카 리이치로 | 중의원/자유민주당(타케시타파) | |
농림수산 정무차관 | 미즈타니 쓰토무 | 참의원/자유민주당(타케시타파) | 재임 |
나카가와 쇼이치 | 중의원/자유민주당(아베파) | ||
통상산업 정무차관 | 데구치 히로미쓰 | 참의원/자유민주당(미야자와파) | 재임 |
아마리 아키라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운수 정무차관 | 모리타 하지메 | 중의원/자유민주당(미야자와파) | |
우정 정무차관 | 쓰키하라 시게아키 | 중의원/자유민주당(아베파) | |
노동 정무차관 | 미야지마 히로시 | 참의원/자유민주당(타케시타파) | 재임 |
건설 정무차관 | 기무라 모리오 | 중의원/자유민주당(타케시타파) | |
자치 정무차관 | 나가노 스케나리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총무 정무차관 |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 중의원/자유민주당(아베파) | |
홋카이도 개발 정무차관 | 구도 마사미 | 참의원/자유민주당(미야자와파) | 재임 |
방위 정무차관 | 스즈키 무네오 |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 |
경제기획 정무차관 | 히라바야시 고조 | 중의원/자유민주당(타케시타파) | |
과학기술 정무차관 | 요시카와 요시오 |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도 그룹) | 재임 |
환경 정무차관 | 이시이 이치지 | 참의원/자유민주당(가와모토파) | 재임 |
오키나와 개발 정무차관 | 테라우치 히로코 | 참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재임 |
국토 정무차관 | 지미 쇼자부로 | 중의원/자유민주당(나카소네파) | |
리쿠르트 사건으로 다케시타 노보루 내각이 퇴진하면서, 우노 소스케가 긴급히 자민당 총재로 발탁되어 총리대신에 취임, 우노 내각이 구성되었다.[2] 리쿠르트 사건과 관련이 적은 인물들을 각료로 기용하여 여론의 이미지 개선을 꾀했다.[2] 그러나 이 내각은 사실상 다케시타 노보루의 후계 지명에 따른 제2차 다케시타 내각, "다케시타 원정", "다케시타 직계" 등으로 불렸다.[3] 다케시타 파의 고부치 에이조와 오자와 이치로가 우노에게 알리지 않고 인사를 결정하기도 했다.
3. 주요 정책 및 사건
우노 내각은 출범 직후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우노 총리의 여성 문제, 리쿠르트 사건, 소비세 도입 논란 등이 겹쳐 지지율이 하락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9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발생했다.날짜 사건 6월 4일 중국 베이징에서 톈안먼 사건(육사 천안문 사건) 발생[4] 6월 18일 버마 연방이 미얀마로 국명 변경[4] 6월 20일 톈안먼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다케시타 내각에서 결정되었던 제3차 대중 차관 동결[4] 7월 6일 미소라 히바리에게 사후 국민영예상 수여[4] 7월 23일 도쿄·사이타마 연속 여아 유괴 살인 사건 용의자 체포[4]
결국 우노 내각은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참패한 책임을 지고 다음 날 사임을 표명, 69일 만에 단명 내각으로 막을 내렸다.[4]
3. 1. 우노 총리의 여성 문제
우노 소스케 총리는 취임 직후 주간지를 통해 여성 문제가 보도되어 큰 논란이 되었다.[4] 이 문제는 리크루트 사건, 소비세 도입과 함께 그해 7월에 치러진 제1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참패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3. 2. 소비세 도입 논란
다케시타 내각이 도입한 소비세는 국민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우노 내각은 소비세 문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지지율이 하락했다.[4] 이는 같은 해 7월 제1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36석을 얻는 데 그치며 과반수에 미달하는 참패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총리의 여성 문제", "리쿠르트 사건", "소비세 도입"이라는 세 가지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었다.[4]
3. 3. 1989년 참의원 선거 패배
1989년 7월에 치러진 제1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민당은 36석을 얻는 데 그쳐, 과반수에 크게 못 미치는 참패를 당했다.[4] 이는 자민당 창당 이후 최악의 결과였다. 우노 소스케 총리는 여성 문제, 리크루트 사건, 소비세 도입이라는 세 가지 문제로 인해 여론의 지지를 잃었다. 같은 해 6월 도쿄도 의회의원 선거에서도 자민당은 제2당인 일본사회당에 근접하는 참패를 당했다.
3. 4. 톈안먼 사건
1989년 6월 4일, 중국 베이징에서 톈안먼 사건(육사 천안문 사건)이 발생했다.[4] 우노 내각은 6월 20일 톈안먼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다케시타 내각에서 결정되었던 제3차 대중 차관을 동결했다.[4]
3. 5. 미얀마 국명 변경
1989년 6월 18일, 버마 연방이 미얀마로 국명을 변경했다.[4]
3. 6. 기타 사건
4. 각료 명단
직책 | 성명 | 소속 및 비고 | 특명 사항 등 |
---|---|---|---|
내각총리대신 | 우노 소스케 (宇野宗佑) | -- 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파), 자유민주당 총재 | |
법무대신 | 타니가와 카즈오 (谷川和穂) | -- 중의원, 자유민주당 (가와모토파), 재입각 | |
외무대신 | 미츠즈카 히로시 (三塚博) | -- 중의원, 자유민주당 (아베파), 직무 이동 | |
대장대신 | 무라야마 타츠오 (村山達雄) | --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재임 | |
문부대신 | 니시오카 타케오 (西岡武夫) | ![]() | |
후생대신 |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郎) | -- 중의원, 자유민주당 (아베파), 재임 | |
농림수산대신 | 호리우치 히사오 (堀之内久男) | ![]() | |
통상산업대신 | 카지야마 세이로쿠 (梶山静六) |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재입각 | |
운수대신 | 야마무라 신지로 (山村新治郎) | 신도쿄 국제공항 문제 담당 | |
우정대신 | 무라오카 카네조 (村岡兼造) |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초입각 | |
노동대신 | 호리우치 미쓰오 (堀内光雄) | --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초입각 | |
건설대신 | 노다 타케시 (野田毅) | -- 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파), 초입각 | 토지 대책 담당 |
자치대신 겸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사카노 시게노부 (坂野重信) | -- 참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재임 | |
내각관방장관 | 시오카와 마사주로 (塩川正十郎) | -- 중의원, 자유민주당 (아베파), 재입각 | |
총무청장관 | 이케다 유키히코 (池田行彦) | -- 중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초입각 | |
홋카이도 개발청장관 겸 오키나와 개발청장관 | 이노우에 키치오 (井上吉夫) | -- 참의원, 자유민주당 (니카이도 그룹), 초입각 | |
방위청장관 | 야마사키 타쿠 (山崎拓) | -- 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파), 초입각 | |
경제기획청장관 | 오치 미치오 (越智通雄) | ![]() | |
과학기술청장관 | 나카무라 키시로 (中村喜四郎) |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초입각 | 원자력위원회 위원장 |
환경청장관 | 야마자키 타츠오 (山崎竜男) | -- 참의원, 자유민주당 (미야자와파), 초입각 | 지구환경문제 담당 |
국토청장관 | 노나카 에이지 (野中英二) | -- 중의원, 자유민주당 (타케시타파), 초입각 | 꽃과 녹색의 만博 담당, 연구·학원 도시 담당 |
직명 | 이름 | 비고 |
---|---|---|
내각관방부장관 | 마키노 타카모리(牧野隆守) | 중의원, 자유민주당 (나카소네파) |
이시하라 노부오(石原信雄) | 자치성 출신 | |
내각법제국장관 | 아지무라 오사무(味村治) | 법무성 출신, 유임 |
5. 평가 및 영향
다케시타 노보루 총리가 리크루트 사건으로 사임하면서, 자유민주당은 큰 위기에 직면했다. 주요 정치인들이 연루된 상황에서, 우노 소스케가 급히 총리로 발탁되었다. 우노 내각은 리크루트 사건과 거리가 먼 인물들을 등용하여 이미지 개선을 시도했다.[2] 그러나 우노 총리 자신의 여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자민당은 제1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참패했다.
우노 내각은 '명경지수(明鏡止水)의 심경'이라는 유행어를 남긴 채 69일 만에 막을 내렸다.[4] 이는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제3차 가쓰라 내각, 하타 내각, 이시바시 내각에 이어 역대 5번째로 짧은 기록이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우노 내각은 모든 각료와 그 가족의 자산 공개 제도를 도입하는 성과를 남겼다. 이는 리크루트 사건의 영향으로, 정치인 가족 명의의 미공개 주식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일본공산당은 우노 내각을 '나카소네 아류 다케시타 리모컨 내각'이라고 비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第75代 宇野 宗佑|歴代内閣
https://www.kantei.g[...]
Prime Minister's Official Residence
2023-10-08
[2]
서적
平成政権史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18
[3]
서적
平成政権史
[4]
웹사이트
中日ニュース No.1604_2「自民惨敗、宇野首相退陣 -参院選-」(平成元年8月)
https://www.youtube.[...]
中日映画社
2020-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